검색
이번 주 가장 많이 본 글 목록입니다.
이번 주 가장 많이 입력한 검색어 목록입니다.
Home 뉴스브리핑
매일 중국에서 발행하는 언론사의 최신 뉴스를 요약·번역하여 제공합니다.
자료를 인용, 보도하시는 경우, 출처를 반드시 “CSF(중국전문가포럼)”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.
中 자동차 업계 판매·생산 소폭 증가, 신에너지차 판매 급증
□ 중국 자동차 업계 판매와 생산이 소폭 증가한 가운데,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남. ⚪ 지난 11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(中国汽车工业协会)는 “올 1~8월 중국 자동차 업계의 판매와 생산이 소폭 증가했고 신에너지차의 판매가 급증했다,”고 소개함.- 올 1~8월 중국의 자동차 업계의 △ 생산량은 1,813만...
출처 : 중국신문망(中国新闻网) 2018-09-14
중국 자동차 업계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승용차 신에너지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자세히보기
中 항공시장 2조 7,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
□ 중국 항공시장이 2조 7,000억 달러(약 3,000조 원) 규모로 성장할 전망임. ⚪ 지난 11일 세계최대 항공기 제조사 보잉(Boeing)은《2018~2037년 중국 민용 항공시장 전망(中国民用航空市场展望)》을 발표함. - 랜디 틴세스(Randy Tinseth) 보잉 상용기 부문 마케팅 부사장은 “향후 20년 내...
출처 : 화하시보망(华夏时报网) 2018-09-14
중국 항공시장 민간항공 보잉 항공서비스 상용기 도시화 중산층 자세히보기
베이징 8월 소비자물가지수 2.9% 상승
□ 베이징(北京)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(CPI)가 전년 동기 대비 2.9% 상승함. ⚪ 지난 11일 베이징시 통계국(北京市统计局)에 따르면, 8월 베이징의 CPI가 전년 동기 대비 2.9%, 전월 대비로는 0.4% 오른 것으로 나타남.- 올 1~8월 베이징의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.5% 상승함.- 앞서 중국 국가통계...
출처 : 북경상보(北京商报) 2018-09-14
중국 물가 베이징 소비자물가지수 CPI 식품가격 고온현상 돼지콜레라 자세히보기
中, 아프리카와의 무역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 11%
□ 중국과 아프리카의 위안화 결제 비중이 11%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짐. ⚪ 중국 경제 전문 매체 21경제망(21经济网)은 남아프리카공화국 현지 은행인 ‘스탠다드 뱅크(Standard Bank)’의 외환 담당자인 리차드 드 루스(Richard de Roos)가 “아프리카에서 결제 통화로서 위안화의 수용도가 점점 높아지고 ...
출처 : 21경제망(21经济网) 2018-09-14
중국 무역 아프리카 위안화 결제 위안화 국제화 공상은행 남아프리카공화국 자세히보기
광선강 고속철 개통으로 홍콩 관광업 활성화 전망
□ 광저우(广州)~선전(深圳)~홍콩(香港)을 잇는 광선강(广深港) 고속철이 개통되면서 홍콩 관광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됨. ⚪ 지난 10일 오전 8시(현지시간)부터 광선강 고속철 열차표가 중국 본토와 홍콩에서 동시에 판매되기 시작함.- 광선강 고속철 홍콩구간은 9월 23일 정식 운영될 예정으로, 이에 따라 중국 내륙 고...
광선강 고속철 여행사 관광업 강주아오대교 웨강아오대만구 홍콩 베이징 자세히보기
中 철도투자 올 한해 계획의 63% 달성
□ 중국 당국은 “올해 1~8월의 철도투자 규모가 2018년 한 해 계획의 63%를 달성했다,”고 발표함. ⚪ 지난 11일 철도건설 등을 추진하는 중국 국영기업인 중국철도총공사(中国铁路总公司)는 “올 1~8월 중국의 철도투자 규모는 4,612억 위안(약 76조 원)으로 올 한해 계획된 예산의 63%를 달성했으며, 투자...
철도투자 고정자산투자 고속철 중서부 지역 철도 인프라 교외철도 광역철도 자세히보기
中 경제성장에 대한 신(新)경제 기여도 높아져
□ 중국 경제성장에 대한 신(新)경제의 기여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. ⚪ 중국 경제가 양호한 ‘양질의 성장’ 추세를 보이고 있음.- △ 신기술 △ 신산업 △ 신업태 △ 신모델 등 신경제와 하이테크 기술 산업 및 전략적 신흥 산업 등 새로운 성장 동력 형성이 가속화되면서, 중국 경제의 ‘안정 속 호조세’를 촉진하는...
출처 : 인민망(人民网) 2018-09-14
신경제 창업판 하이테크 산업 매출 순이익 선전 증시 상하이 증시 자세히보기
中 재정수입 증가율 ‘한 자릿수’로 둔화될 전망
□ 중국 재정수입 증가율이 ‘한 자릿수’로 둔화될 전망임. ⚪ 올해 하반기 8,000억 위안(약 131조 원)이 넘는 감세정책이 효력을 발휘하면서, 올해 들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던 중국의 재정수입이 ‘한 자릿수’로 둔화될 전망임.- 특히 증치세(增值税․부가가치세) 세율이 인하되고, 최근 증치세 공제세금 환급 속도가 ...
출처 : 제일재경(第一财经) 2018-09-14
재정수입 감세정책 증치세 세금 환급 일반공공예산수입 선진제조업 서비스업 자세히보기
中 금융업 지난 39년간 안정 성장, 부가가치 연평균 12.2% 증가
□ 중국 금융업이 지난 39년간 번영과 안정 성장을 거듭하며, 연평균 부가가치 증가율이 12.2%에 달한 것으로 나타남. ⚪ 지난 10일 중국 국가통계국(国家统计局)이 발표한 ‘개혁개방 40년 경제·사회 발전성과에 관한 10번째 보고서(改革开放40年经济社会发展成就系列报告之十)’에 따르면,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△ 은행 △...
출처 : 신화망(新华网) 2018-09-13
중국 금융업 개혁개방 은행 증권 보험 부가가치 GDP 자세히보기
中 외자유치 사상 최고 기록 경신
□ 중국이 외자유치 규모면에서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함. ⚪ 최근 열린 ‘제20회 중국국제투자무역상담회’에서 공개된《2018 세계투자보고(世界投资报告, 중문판)》에 따르면, 2017년 중국이 유치한 외국인직접투자(FDI)가 역대 최고 수준에 달해, 계속해서 개발도상국 중에서 중국이 FDI 최대 유치국 지위를 유지함. - ...
출처 : 경제일보(经济日报) 2018-09-13
중국 외자유치 외국인직접투자 FDI 개발도상국 아시아 비즈니스 환경 개선 개방 자세히보기